2021. 1. 10. 15:23ㆍ삼국의 유물 유적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황남대총 북분 금관은 신라의 대표적인 고분 유적인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신라 금관입니다. 황남대총은 호리병 모양을 가지고 북분과 남분으로 나뉩니다. 오늘 다룰 금관은 황남대총의 북분에서 출토된 것입니다. 황남대총의 북분에서는 부인대라는 글자가 쓰인 금제 허리띠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황남대총 북분의 주인은 여성이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남분은 왕의 무덤으로 추정되었는데 의외로 금관이 아닌 금동관이 발견되었습니다. 신라 금관은 금판으로 띠를 두르고 그 위에 나뭇가지 모양의 장식과 사슴뿔 모양 장식을 세운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징들은 북방 시베리아 유목민족의 샤머니즘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슴과 나무의 형상은 하늘과 땅을 잇는 다리로 여겨집니다. 신라의 금관은 영락(달개)라는 작은 원형 금판과 굽은 옥(굽은 옥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금령총 금관이 그렇습니다.)을 장식하여 화려함을 더하는 특징도 공유합니다.
출처: 문화재청
황남대총 금관은 신라 금관의 아름다움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유물입니다. 나무가지 모양 장식 3개를 정면에 세웠고, 뒤쪽에는 사슴뿔 모양 장식을 2개 세웠습니다. 나뭇가지 장식은 3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영락(달개)로 불리는 작은 금빛 원판을 규칙적으로 장착하여 화사함을 더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 눈에 들어오는 것은 굽은 옥입니다. 굽은 옥은 푸른 빛을 발산하여 금빛으로 채워진 금관에 다채로움을 더합니다. 나뭇가지 모양 장식에는 16개의 옥을, 사슴뿔 모양의 장식에는 9개를, 띠에는 11개의 옥을 달았습니다.
금관의 아래에 길게 내려진 것은 드리개라고 합니다. 오른쪽과 왼족에 각각 3개씩 대칭되어 장착되어 있습니다. 굵은 고리에 매달아서 내린 드리개 장식은 여려 나뭇잎 모양의 금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안쪽의 장식에는 굽은 옥이 달려있고, 바깥쪽의 드리개의 끝은 금판으로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이 금관이 발견될 당시에는 드리개가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출처: 문화재청
황남대총 북분 금관은 신라 금관의 보편적 특징을 갖춘 대표적인 신라 금관입니다. 그리고 다른 금관보다 굽은 옥을 많이 달아 더욱 화려합니다. 황남대총 북분 금관은 국보 제19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삼국의 유물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0) | 2021.01.10 |
---|---|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0) | 2021.01.10 |
금령총 금관 (0) | 2021.01.10 |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0) | 2021.01.10 |
금관총 금제 허리띠 (0) | 2021.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