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안학궁

2021. 1. 15. 13:50삼국의 유물 유적

안학궁 궁전터 전경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안학궁은 고구려가 평양으로 천도한 이후 장안성으로 옮기기 이전까지 고구려의 수도였던 궁전입니다. 고구려는 처음에 졸본성에 도읍을 정하였으나 이후 국내성으로 천도를 감행하게 됩니다. 그 이후 국내성은 오랜 기간 동안 수도 역할을 합니다. 이후 광개토대왕 시대에 평양으로의 중심지 이동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됩니다.

2년(서기 393) 가을 8월, 백제가 남쪽 변경을 침략하자 임금이 장수에게 명령하여 이를 방어하게 하였다.

평양에 아홉 개의 절을 창건하였다.

二年 秋八月 百濟侵南邊 命將拒之 創九寺於平壤

광개토대왕 2년에 평양에 9개의 절을 창건하게 됩니다. 광개토대왕 시기부터 이미 평양은 중심지로 주목을 받았고, 광개토대왕은 이에 발맞춰 기반을 마련한 것입니다.

18년(서기 409) 여름 4월, 왕자 거련(巨連)을 태자로 삼았다.

가을 7월, 동쪽 지방에 독산(禿山) 등 여섯 개의 성을 쌓고, 평양의 백성들을 이주시켰다.

8월, 임금이 남쪽 지방을 순행하였다.

十八年 夏四月 立王子巨連 爲太子 秋七月 築國東禿山等六城 移平壤民戶 八月 王南巡

[네이버 지식백과] 광개토왕 [廣開土王]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2012. 8. 20., 김부식, 박장렬, 김태주, 박진형, 정영호, 조규남, 김현)

평양 백성의 이주와 광개토대왕의 남쪽 순행도 기록에 남아있어, 광개토대왕 시기에 이미 남쪽 지역을 중시하고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이후 고구려는 장수왕의 시기에 남진정책을 본격화하고 도읍을 평양으로 옮기게 됩니다. 장수왕 15년에 고구려의 수도는 평양으로 옮겨진 것입니다.

15년(서기 427), 평양(平壤)으로 수도를 옮겼다.

十五年 移都平壤

삼국사기 장수왕 본기

장수왕이 평양성으로 천도하였을 때 건립한 궁궐이 바로 안학궁입니다. 안학궁은 고구려 남진정책, 남하정책의 기상을 만천하에 드러냅니다. 궁궐의 규모는 너무나도 거대했습니다. 안학궁은 장수왕의 천도 시점부터 평원왕 28년에 장안성으로 도읍을 옮기기까지 수도의 구실을 했습니다.

28년(서기 586), 장안성(長安城)으로 도읍을 옮겼다.

二十八年 移都長安城

안학궁의 근처에는 대성산성이 있어서 전쟁시에는 사람들이 이곳으로 옮겼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국내성과 환도성의 관계와 같습니다.

안학궁은 3개의 중심축을 위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남북으로 외전, 내전, 침전의 영역이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이러한 영역은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안학궁 외전 1궁전터 전경
안학궁 외전 2궁전터 전경
안학궁 내전 1궁전터 전경
안학궁 내전 2궁전터 전경
안학궁 침전터 전경

출처:국립문화재연구소

외전에서 침전까지는 수많은, 거대한 문들이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성문은 동쪽과 서쪽, 북쪽에 한개씩 있었습니다. 남쪽에는 3개의 성벽을 만들었습니다. 중심 영역의 북쪽에는 후원이 있었고, 좌우로는 동궁과 서궁이 있었습니다.

안학궁 동궁터 전경
안학궁 서궁터 전경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궁궐 성곽의 한 변의 길이는 622m였고, 그 둘레는 2488m나 되었습니다.

안학궁 터에서는 고구려의 기와나 장식들이 매우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수막새 기와

그리고 안학궁터 내전에서는 고구려의 치미도 발견되었는데, 치미는 기와지붕의 마무리 부분에 다는 장식입니다. 그런데 고구려의 치미는 신라의 황룡사와 발해 상경성의 치미보다 그 크기가 훨씬 커 안학궁의 거대한 규모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신라 황룡사 치미의 높이는 186cm이고, 발해 상경성 치미의 길이는 87cm인데, 고구려의 안학궁 치미의 높이는 무려 210cm이나 되어 고구려 안학궁의 기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고구려 안학궁의 치미 ​
안학궁 복원모형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안학궁은 고구려인의 정교하고 거대한 건축술의 총집결이었던 것입니다.

'삼국의 유물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용총  (0) 2021.01.15
수산리 고분 벽화와 다카마쓰 고분 벽화  (0) 2021.01.15
고구려 강서대묘 사신도  (0) 2021.01.15
경주 노서동 금목걸이  (0) 2021.01.15
광개토대왕릉비  (0) 2021.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