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총

2021. 1. 15. 14:01삼국의 유물 유적

무용총 안칸 관대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무용총

무용총은 고구려의 고분입니다. 무용을 하는, 즉 춤을 추는 그림이 등장하기에 무용총으로 부릅니다. 4세기 말에서 5세기 사이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북한에서는 춤무덤으로 부릅니다. 무용총은 널길과 앞방, 널방을 가지고 있어 두방무덤입니다. 널방에는 괴석을 쌓았고, 천장은 모줄임천장입니다. 모줄임 천장은 사각형 위에 마름모 모양의 돌을 올려 점차 올리는 돌의 크기를 줄인 천장을 말합니다. 위치는 광개토대왕릉비의 북서쪽 1km지점입니다. 방에 들어가면 아름다운 벽화가 있습니다. 왼쪽 벽은 수렵을 하는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수렵도라는 이름으로 유명한 벽화입니다. 오른쪽 벽에는 주인과 춤을 추는 사람들의 모습이 담겨져 있습니다. 이 춤을 추는, 즉 무용을 하는 그림을 통해 이 무덤은 무용총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무용총의 벽화들을 살펴보며 고구려 벽화 예술의 아름다움을 살피겠습니다.

무용총 안칸 안쪽 벽 벽화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무용총 안칸 안쪽 벽 벽화 배치도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신분제 사회 고구려

무용총의 방으로 들어서면 안쪽의 벽화를 정면으로 보게됩니다. 안쪽 벽의 벽화는 접객도라고 불립니다. 주인이 손님을 접대하는 모습인데요, 이 그림에는 고구려가 신분제 사회였음이 잘 드러납니다. 왜냐하면 주인은 신체의 크기가 크고, 시중을 드는 하인은 신체의 크기를 작게 그렸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고구려의 벽화에서는 신분에 따라 신체의 크기를 다르게 그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무용총 안칸 왼쪽 벽 벽화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무용총 안칸 왼쪽 벽 기마인물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무용총 안칸 왼쪽 벽 벽화 배치도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수렵도 모사도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구려의 무예 기풍, 수렵도

무용총의 왼쪽 벽에는 고구려인들이 사냥을 하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수렵도입니다. 사냥을 하는 사람들이 산을 질주하며 호랑이와 사슴 등의 짐승들을 수렵하는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말을 타며 활을 쏘는 점에서 고구려인들의 무예 수준이 상당히 높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냥을 하는 고구려인들은 새의 깃털 형상을 한 관을 쓰고 있는데, 이는 조우관으로 고구려인들의 관 양식을 알 수 있습니다. 수렵도는 고구려 사람들의 상무적인 기풍을 잘 보여주는 벽화인 것입니다.

무용총 안칸 오른쪽 벽 벽화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무용총 안칸 오른쪽 벽화 춤을 구경하는 주인공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무용도
무용총 안칸 오른쪽 벽 벽화 배치도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오른쪽 벽에는 춤을 구경하는 주인의 모습과 춤을 추는 고구려인들의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바로 무용도 입니다. 악기 연주자들의 연주에 맞추어 5명의 무용수들이 춤을 선보이는 그림으로, 고구려인들의 예술과 문화양식을 엿볼 수 있습니다.

무용총 안칸 앞쪽 천정 벽화
무용총 안칸 안쪽 천정 수박희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무용총 안칸 안쪽 천정 뿔나팔 부는 선인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무용총 안칸 안쪽 천정 기린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무용총 안칸 왼쪽 천정 벽화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무용총 안칸 천정 별자리 배치도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별자리, 수박희

무용총의 천장에는 별자리와 백호, 청룡, 기린, 등의 신비한 동물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수박희를 하는 사람도 그려져 있어 고구려의 무술 문화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별자리는 고구려의 높은 천문 수준을 알 수 있게 합니다. 후에 조선에서 이러한 고구려의 천문 기술을 기반으로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제작하게 됩니다.

이렇게 무용총은 고구려의 문화예술과 상무적 기풍, 그리고 무예 수준과 발달한 천문 기술을 모두 알려주는 중요한 무덤입니다. 무용총을 통해 고구려의 다양한 면모를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삼국의 유물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구려 안악 3호분  (0) 2021.01.16
각저총  (1) 2021.01.15
수산리 고분 벽화와 다카마쓰 고분 벽화  (0) 2021.01.15
고구려 안학궁  (0) 2021.01.15
고구려 강서대묘 사신도  (0) 2021.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