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총 금제관식

2021. 1. 10. 11:22삼국의 유물 유적

천마총 금제관식

출처: 문화재청

천마총 금제관식은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제관식입니다. 천마총 금제관식을 보시면 어떤 형상이 떠오르시나요? 가장 잘 떠오르는 것은 바로 새입니다. 이 금제관식은 새가 힘있게 날개를 펼치는 모습을 표현했습니다. 이러한 새 모양의 금제관식은 어디서 유래된 것일까요? 새를 숭상하는 의식은 북쪽 시베리아의 샤머니즘 문화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샤머니즘의 새 숭배는 시베리아에서 한반도로 영향을 확대했습니다. 신라보다 북방에 위치했던 고구려에서도 새 숭배의 의식은 드러납니다. 고구려인들이 쓰고 다닌 새의 깃털을 꽃은 조우관은 고구려의 쌍영총과 같은 고분벽화에서 확인됩니다.

쌍영총의 기마인물 모사화, 조우관을 쓰고 있습니다.

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천마총의 금제관식도 당대에 널리 퍼진 조우관의 양식을 따라 제작된 것입니다. 새의 날개 형상을 본다 만든 이 금제관식은 매우 힘찬 느낌을 줍니다. 금제관식의 무늬는 덩굴무늬라는 견해도 있고, 용무늬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발견 당시에는 사람이 착용한 상태는 아니엇고, 따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한 판으로 만든 것은 아니고 못을 이용하여 접합했습니다.400여개 정도의 원형 장식물인 달개를 금실로 매달아 화려함을 자아냅니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천마총 금제관식은 보물 제61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천마총 금제관식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삼국의 유물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마총 금제 허리띠  (0) 2021.01.10
천마총 금제관식 (나비형)  (0) 2021.01.10
천마총 목걸이  (0) 2021.01.08
천마총 자루솥  (0) 2021.01.08
천마총 환두대도  (0) 2021.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