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총의 국보 보물

2021. 1. 11. 10:04삼국의 유물 유적

천마총

출처: 한국관광공사

천마총의 내부모습

출처: 한국관광공사

천마총은 신라의 대표적인 고분 유적입니다. 천마총은 대표적인 돌무지덧널무덤인데요, 돌무지덧널무덤은 산처럼 높이 쌓인 흙인 봉토 안에 널방을 단단하게 덮은 돌무지, 돌무지 속에 묻혀 있는 나무로 만든 널방(나무 덧널), 그리고 널방 안에 있는, 시신이 담겨진 나무 널(목관)으로 구성된 무덤을 말합니다. 이렇게 겹겹이 쌓인 돌과 흙 덕분에 신라의 무덤 양식인 돌무지덧널무덤들은 도굴을 방지하는 것에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천마총도 이러한 돌무지덧널무덤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이 무덤은, 비록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무덤의 양식과 내부 구성, 연대 추측등을 통해 지증왕의 무덤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천마총에서는 수많은 유물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그 중 국보로 지정된 것은 4개, 보물로 지정된 것은 6개나 됩니다. 이러한 유물들은 모두 고대 신라의 모습을 파악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됩니다. 이 글에서는 천마총에서 출토된 신라 유물들 가운데 국보나 보물로 지정된 것들을 살펴보겠습니다.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출처: 문화재청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출처: 문화재청

국보 207호,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천마총이라는 이름은 바로 국보 207호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천마도에 그려진 하늘의 말, 즉 천마의 이름이 붙은 무덤이 된 것입니다. 이 천마도는 자작나무껍질로 제작된 장니에 그려진 것인데요, 장니는 말다래라고도 하는, 말을 탄 사람에게 흙이 튀지 않도록 가장자리에 늘어 둔 가죽판을 의미합니다. 이 천마도는 고구려의 양식과 유사한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신라가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기마문화를 가졌음을 보여줍니다. 그림의 동물은 신라의 전설에 따라 천마로 보는 견해가 다수지만, 태평성대를 상징하는 기린이라는 견해도 존재합니다.

https://historykorea676.tistory.com/59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출처: 문화재청 ​천마도, 신라의 상징으로 남다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는 신라를 대표하는, 신라를 공부한다면 꼭 알아두어야 하는 것입니다. 천마도는 천마총에서 발견되었는데, 바로 무덤

historykorea676.tistory.com

천마총 금관
천마총 금관

국보 제188호, 천마총 금관

천마총 금관은 신라를 상징하는 유물인 신라 금관 가운데 하나입니다. 정면에는 나뭇가지 모양의 세움장식이 3개 세워져 있고, 후면에는 사슴뿔 모양의 장식이 2개 세워져 있습니다. 각각의 장식과 띠에는 영락(달개)를 달아 화려함을 더했습니다. 영락(달개)는 작은 원형의 금판 장식을 말합니다. 그리고 굽은 옥도 규칙적으로 달려 있어 화려함을 더합니다. 관 아래로 드리워진 드리개는 나뭇잎 형상의 금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https://historykorea676.tistory.com/68

 

천마총 금관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천마총의 금관 천마총 금관은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관입니다. 천마총 금관은 신라하면 떠오르는 신라의 상징적인 유물인 신라 금관중 하나입니다. 천마총 금관은 천마총

historykorea676.tistory.com

천마총 관모

출처: 문화재청

천마총 관모의 마름모 무늬

출처: 문화재청

천마총 관모의 T자형 무늬

출처: 문화재청

국보 제189호, 천마총 관모

천마총 관모는 금관과 함께 무덤에 묻힌 사람의 머리에 쓰여진 것이었습니다. 금빛을 내며 매우 화려하고, 마름모형 무늬와 T자형 무늬등 다양한 문양을 통해 다채로움을 드러냅니다. 이 관모는 4개의 금판을 연결하여 제작한 것입니다. 신라의 금속 세공 기술을 잘 보여주는 유물로 평가받습니다.

https://historykorea676.tistory.com/67

 

천마총 관모

출처: 문화재청 천마총 관모는 신라의 대표적인 무덤 유적인 천마총에서 출토된 관모입니다. 이 관모의 높이는 16cm입니다. 너비는 19cm이고, 무게는 155g입니다. 관모는 보시다시피 금빛으로 빛납

historykorea676.tistory.com

천마총 금제 허리띠

출처: 문화재청

천마총 금제 허리띠의 요패장식

출처: 문화재청

국보 제190호, 천마총 금제 허리띠

천마총 금제 허리띠는 신라 금제 허리띠의 화려함을 잘 보여줍니다.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가로의 띠 부분은 과대라고 하고, 아래로 늘어진 장식 부분은 요패라고 부릅니다. 과대는 금판에 문양을 넣어 장식한 띠꾸미개 44개를 이어 붙인 것입니다. 요패는 긴 장식 1개와 나머지 짧은 장식들로 구성되어 있고, 물고기 모양 금판 장식, 금 모자를 쓴 굽은 옥, 용무늬를 투조한 금판장식 등 다채롭고 화려한 장식들이 달려 있습니다.

https://historykorea676.tistory.com/66

 

천마총 금제 허리띠

출처: 문화재청 천마총 금제 허리띠는 신라의 무덤인 천마총에서 출토된 허리띠입니다. 국보 제190호입니다. 이 허리띠는 발견될 당시 무덤에 묻힌 사람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로 발견되었습니다

historykorea676.tistory.com

천마총 금제관식

보물 제617호 천마총 금제 관식

보물로 지정된 천마총의 금제관식은 2개가 존재하는데, 617호 금제관식은 나비의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좌우의 대칭을 이루고 있고, 작은 원형 금판 장식인 영락을 이용해 화려하게 꾸몄습니다. 가운데 부분 아랫쪽 영락이 없는 부분을 통해 관에 장착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https://historykorea676.tistory.com/64

 

천마총 금제관식 (나비형)

출처: 문화재청 천마총 금제관식은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제관식입니다.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제관식은 두 가지가 있는데요, 하나는 새의 날개 모양을 가진 조익형이고, 이 글에서 다룰 다른 하

historykorea676.tistory.com

천마총 금제관식

보물 제618호 천마총 금제관식

보물 제618호 천마총 금제관식은 새의 날개 모양과 유사하게 제작되었습니다. 새의 날개의 영감은 북방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영향으로 추측됩니다.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도 발견되는 이러한 조우관의 형태는 삼국에 널리 퍼진 양식이었습니다. 천마총의 조익형 금제관식은 작은 원형 금판 영락을 사용하여 화려함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https://historykorea676.tistory.com/63

 

천마총 금제관식

출처: 문화재청 천마총 금제관식은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제관식입니다. 천마총 금제관식을 보시면 어떤 형상이 떠오르시나요? 가장 잘 떠오르는 것은 바로 새입니다. 이 금제관식은 새가 힘있

historykorea676.tistory.com

천마총 목걸이

출처: 문화재청

보물 제619호, 천마총 목걸이

천마총 목걸이는 묻힌 사람의 가슴 부분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 목걸이는 매우 화려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금과 유리, 옥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직사각형의 금판과 3개의 굽은 옥은 화려한 모습을 보입니다.

https://historykorea676.tistory.com/62

 

천마총 목걸이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천마총 목걸이는 신라의 대표적인 고분인 천마총에서 출토된 화려한 목걸이입니다. 천마총 목걸이는 천마총의 관 내부에서 발견된 것입니다. 발견 당시에는 무덤에 묻힌

historykorea676.tistory.com

천마총 유리잔

출처: 문화재청

보물 제620호, 천마총 유리잔

천마총 유리잔은 신라의 풍부한 유리제품 가운데 하나입니다. 상부는 세로줄로, 하부는 거북의 등 모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긴 관과 잔의 틀을 이용해 형취법을 통하여 제작되었습니다. 과학조사를 통해 흑해 또는 동지중해에서 가공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어 신라가 서역과 활발하게 교역했음을 알려주는 자료입니다.

https://historykorea676.tistory.com/50

 

천마총 유리잔

출처: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신라의 풍부한 유리제 유물 천마총 유리잔은 천마총에서 출토된 유리잔입니다. 신라의 무덤 유적에서는 특이하게도 유리가 재질인 유물들이 다수 출토됩니다

historykorea676.tistory.com

천마총 환두대도

출처: 문화재청

보물 제621호, 천마총 환두대도

천마총 환두대도는 고리자루큰칼이라고도 불리는 환두대도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칼자루에 고리 모양 장식이 달린 것이 환두대도입니다. 고리 안에는 봉황의 모습이 있습니다. 삼국시대의 보편적 무기인 환두대도의 양식을 잘 보여줍니다.

https://historykorea676.tistory.com/60

 

천마총 환두대도

출처: 문화재청 천마총 환두대도는 천마총에서 출토된 환두대도입니다. 환두대도는 고리자루큰칼이라고도 합니다. 환두대도의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특징은 칼자루에 둥근 모양의 장식이 달

historykorea676.tistory.com

천마총 자루솥

출처: 문화재청

보물 제622호, 천마총 자루솥

천마총 자루솥은 제사를 위한 제기였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액체를 따르는 부분은 양의 머리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양식은 다른 자루솥에서도 확인됩니다. 신라인들의 제사 도구를 살피는데 중요한 유물입니다.

https://historykorea676.tistory.com/61

 

천마총 자루솥

출처: 문화재청 천마총 자루솥은 신라의 대표적인 무덤인 천마총에서 출토된 자루솥입니다. 이 자루솥은 아마도 제사에 이용되는 제기 가운데 하나였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자루솥은 술과 약,

historykorea676.tistory.com

이처럼 천마총에서는 수많은 귀중한 유물들이 출토되었고, 많은 유물들이 국보나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천마총은 신라 시대를 파악하는 토대가 된 것입니다.